Debug and vulns

2025. 2. 23. 14:19Web Security/웹 해킹

많은 프레임 워크는 개발의 필요성 때문에 디버그 모드를 지원한다. 이에 디버그 모드 활성화 후 배포에 따른 RCE 가능성에 대하여 글을 쓰고자한다. RCE 왜에도 jwt key 등 중요정보들이 leak 될 수 도 있다.

 

FLASK 프레임 워크

아래의 사진을 보면 FLASK debug모드가 켜진 상태이다. 아래는 디버그 모드에서 파이썬 쉘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pin 번호가 만들어지는 코드이다. 버전 및 환경 마다 다르지만, 아래와 같은 파일을 유출할 수 있는 LFI 취약점이 존재한다면 RCE가 발생할 수 있다.

 

/etc/machine-id

/proc/sys/kernel/random/boot_id

/proc/self/cgroup

/sys/class/net/<network interface>/address

/etc/passwd

 

 https://github.com/pallets/werkzeug/blob/main/src/werkzeug/debug/__init__.py

 

werkzeug/src/werkzeug/debug/__init__.py at main · pallets/werkzeug

The comprehensive WSGI web application library. Contribute to pallets/werkzeu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
github.com

 

 

참고 : 

https://b33pl0g1c.medium.com/hacking-the-debugging-pin-of-a-flask-application-7364794c4948

 

Hacking the Debugging Pin of a Flask Application

Hola, Hackers and Developers! In this article, I am going to show you why leaving keeping Debug Mode on for a Flask Production Server is a…

b33pl0g1c.medium.com

 

 

DJANGO

과거 SSRF 공격을 할 때, 어떻게 숨겨진 endpoint에 공격을 가할 수 있을까 고민한적이 있다. 아래 사진으로 보면 DEBUG 모드가 켜져있다면 andpoint을 제공해준다. 이외에도, DB 스키마 정보, 다양한 스택 트레이스 정보를 제공함 으로써 해킹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.

 

 

https://medium.verylazytech.com/why-djangos-debug-true-is-a-goldmine-for-hackers-01486289607d

 

Why Django’s [DEBUG=True] is a Goldmine for Hackers

Misconfigurations are often the weakest link in an otherwise secure environment. One of the most dangerous yet easily overlooked…

medium.verylazytech.com

https://blog.vidocsecurity.com/blog/escalation-of-debug-mode-in-django/

 

Escalating debug mode in Django to RCE, SSRF, SQLi

Security implications of DEBUG=true in Django. Learnings from an ethical hacker's perspective

blog.vidocsecurity.com

 

 

 

'Web Security > 웹 해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ByPass WAF using HTTP header  (0) 2025.01.11
PHP Session Poisoning using LFI  (0) 2025.01.09
file upload & download & reverse shell  (11) 2024.11.15
blind sql injection  (1) 2024.10.29
sql injection CTF vs real world. finger print  (0) 2024.10.27